안드로이드 휴대폰의 Sensor BSP(Board Support Package) 개발자로 일하던 중 재미로 만들어본 Android App에 광고를 추가하고 별 기대 없이 시간이 흘러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광고 수익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johnny.studio.notouch&hl=ko&gl=US
Google Admob 광고를 사용하면서 eCPM과 노출수에 따라서 광고수익이 변경되는것을 보고 오늘 eCPM에 대해서 좀 자세히 알아보기로 했다.
eCPM이란?
1,000회 유효 노출당 수입을 나타내는 용어. 1000회 광고 노출당 예상되는 수익.
계산식 : eCPM = ( 총수입 / 총노출수 ) * 1000
예를 들어 eCPM이 1$라고 하는것은, 광고가 1,000번 노출되었을 때 벌어들일 수 있는 수익이 1,000$라는 이야기.
앱의 종류(게임/툴/서비스/뉴스 등등.), 사용하는 국가에 따라 eCPM이 상당히 달라진다.
보통 광고의 클릭률은 앱을 사용하는 연령대가 높을 수록 많이 나타나며, 배너 광고보다는 전면 광고가 수익률이 훨씬 높게 나타난다.
그리고 소득수준에도 영향을 받는데, 소득수준이 높은 그룹에서 광고지출 여력도 높기 때문에 수익도 높게 나타난다. 앱을 출시하고 광고를 계획할 때에는 이러한 점도 감안해서 기획하면 도움이 된다.
전략
한달에 90$의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eCPM이 2$인 앱을 예로 든다면, eCPM = ( 총수입 / 총노출수 ) * 1000을 참고하여 아래와 같이 노출수를 계산할 수 있다.
1) 2$ = ( 90$ / 총노출수 ) * 1000
2) 총노출수 = ( 90$ / 2$ ) * 1000 = 45000번 노출
3) 한달을 30일로 봤을 때, 하루에 1500번은 노출되어야 한달에 90$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4) 1500번은 1500명이 하루에 1번씩 앱을 실행시키거나, 300명이 하루에 5번 앱을 실행할 수도 있을것이다.
결국, 앱을 매일매일 사용하고 자주 사용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고, 배너광고 뿐 아니라 전면광고를 이용하되 사용자에게 불편을 감수할 수 있도록 편의성이나 사용성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Code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ass of Python - 클래스 기본적인 사용 (0) | 2022.01.26 |
---|---|
OOP(Object-Oriented Programming) of Python (1) | 2022.01.25 |
[Tistory] 이미지 넣기 (0) | 2021.01.10 |
[GitLab] 버전 변경 및 반영하기 (0) | 2021.01.10 |
[GitLab] Project 생성 및 git Clone. (0) | 2021.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