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공이산(愚公移山)

자신과 세상을 바꾸는 것은 머리좋고 가진것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결코 포기하지 않는 의지로 꾸준히 노력해 가는 사람이다. 오늘이 쌓여 내일을 만들고, 내일이 쌓여 인생을 만든다.

전체 글 55

[탁구] 펜홀더 포핸드

잊어버리기 전에 펜홀더 포핸드 정리해두자. 이번에 펜홀더 포핸드 / 포핸드 스트로크 / 포핸드 드라이브 하면서 나름 느낀점과 잊고 싶지 않은 포인트들을 정리해두고 다시금 혼란스러울 때 꺼내보려고 이렇게 글로 느낌을 남겨본다. 기본 자세 다리를 어께넓이로 벌리고 무릎을 살짝 굽히되 허리는 펴서 자세를 낮추자. 다리의 위치는 오른손잡이의 경우 오른쪽 발이 왼쪽발 보다 반보정도 뒤에 위치하고 발의 모양은 11자 또는 앞을 조금 열어 안정적인 자세를 만들자. 몸의 중심과 머리는 일직선상에 위치해야 하도록 하고 상체를 살짝 앞으로 기울여 공에 힘을 실어줄 수 있도록 하자. ( 주의 : 앞으로 너무 기울어 지거나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 그밖에 양쪽 팔꿈치의 각도는 90º를 유지 몸과 탁구대의 거리는 30㎝..

탁구 2022.02.05

클래스 속성과 인스턴스 속성

1. 클래스 속성과 인스턴스 속성의 차이 앞선 글에서 다루었던 클래서 초기화 함수(__init__)에서 'self.속성'에 할당 했던 변수들은 모두 인스턴스 속성에 해당. 클래스 속성은 아래와 같이 self.속성에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class안에서 바로 할당하는 것이다. class CustomClass: 속성명 = 값 def custom_method(): pass ... 2. 클래스 속성 클래스 속성에 접근하는 메소드를 작성해보자. class Flight: class_attr = [] def add_class_attr(self, number): Flight.class_attr.append(number) REPL에서 확인해보자. 객체를 2개를 만들고, 클래스 속성에 값을 추가하는 인스턴스 메소드를 사용..

Code Story 2022.01.26

Class of Python - 클래스 기본적인 사용

이전글 : 2022.01.25 - [Code Story] - OOP(Object-Oriented Programming) of Python 그럼 지금부터 Python에서 OOP를 하기 위해 class를 생성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자!! 1. 클래스란? 클래스는 객체의 구조와 행동을 정의한다. 객체의 클래스는 초기화를 통해 제어한다. 클래스는 복잡한 문제를 다루기 쉽도록 만든다. 2. 클래스 만들기 클래스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class 키워드 사용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한다. 클래스의 네이밍컨벤션은 CamelCase 를 사용한다. ( 첫 단어의 첫 문자는 대문자로 시작하며 연이은 단어의 첫 문자를 대문자로 하여 의미의 구문을 짓는다 ) class MyClass: def __init__(self, param)..

Code Story 2022.01.26

OOP(Object-Oriented Programming) of Python

OOP를 아래와 같은 단어들로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 하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기법)도 여기서 나온 말이다. Object : 객체 Oriented : 지향하는 Programming : 프로그래밍 하나씩 살펴보면, "Object"란 말그대로 물체이다. 이 세상은 물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우리 세상에 채워져 있는 독립된 하나하나의 (물체)를 Object란 단어로 표현하고 있는듯하다. 내 책상 위를 봐도 모니터,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 종이컵, 머그컵, 연필꽂이, 다양한 볼펜, 달력 등등 아주 수 많은 물체들로 가득하다. 그런데 그 중에서 연필꽂이를 봤더니 비슷비슷한 볼펜들이 가득 꽂혀있고, 심지어 똑같은 모양의 펜들도 있다. 이렇게 비슷하거나 똑같은 펜들은 실제 똑같은 방식이나 똑같은 공..

Code Story 2022.01.25

[통계분석] 1. 변수와 척도

통계분석을 통해 데이터에 좀더 체계적으로 접근해보자. 기초통계분석에 대해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무까지 적용해보자. 변수란 무엇인가? 변화하는 수의 집합 즉, 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연속변수 : 연속적인 값을 갖는 변수(Ex. 나이, 점수, 무게, 가격 등등..) 이산변수(범주변수) : 서로 다른 것으로 구분되는 변수(Ex. 성별(남/녀), 색깔(빨강, 파랑, 노랑..) - 성별의 범주에 있는 데이터, 색깔의 범주(Category)에 있는 데이터.. 그렇다면 이러한 데이터(변수)를 어떻게 측정/표현할까? 척도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자. 척도(Scale)란, 측정된 변수의 값을 표현하는 수준이다. 척도도 여려가지가 있는데 여기서는 네가지 정도로 나눠보도록 하겠다. 구분 예시 측정값의..

Data Science 2022.01.17